한눈에 보기: ETF를 고를 때는 단순 수익률보다 경제 사이클(금리, 실업률, 경기 국면)을 함께 보는 게 훨씬 유리합니다. 최근 10년 하락 이벤트를 복기하고, 금리 인하·실업률과의 연결 고리를 통해 “언제는 어떤 ETF가 유리한가”를 정리했습니다. 대표 지수(VOO·SPY·QQQ), 배당·프리미엄(SCHD·VYM·JEPI·JEPQ), 섹터·채권(XLK·XLE·XLV·TLT)를 10개로 추려, 하락장 분할 매수 시나리오(10% 간격)와 JEPQ·TQQQ 평균단가 시뮬레이션까지 한 번에 제공합니다.
1. 미국 ETF와 거시경제의 상관관계
ETF 성과는 결국 금리(인상/인하), 실업률(경기 둔화/회복), 유동성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금리 인하가 기대될 때는 성장주 비중이 높은 QQQ·XLK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고, 금리 인상기나 불확실성이 커질 때는 SCHD·VYM 같은 배당·가치 스타일이 방어력을 보여 줍니다. 실업률이 올라갈 땐 소비 여력이 줄어들어 XLP(필수소비재)·XLV(헬스케어) 같은 방어 섹터가 상대적으로 견조해지는 것도 자주 관찰됩니다.
출처: FRED(미 연준 경제 데이터), Yahoo Finance(ETF 가격), Investing.com(시장 이벤트별 지수 기록)
2. 최근 10년 나스닥 하락 이벤트 요약 (2018–2025)
아래 표는 Investing.com, Yahoo Finance의 나스닥 지수 데이터를 교차 검증하여 작성했습니다. 과거 하락률과 회복률을 통해 “어느 정도 조정이 반복되는가”를 객관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벤트 | 시기 | 고점 | 저점 | 하락폭 | 하락률(%) | 저점 대비 현재 상승률(%) |
---|---|---|---|---|---|---|
2018년 말 조정장 | 2018.07~12 | 8,110 | 6,192 | –1,918 | –23.6% | 233.5% 상승 |
2020년 코로나 팬데믹 | 2020.02~03 | 12,900 | 6,861 | –6,039 | –46.8% | 201.0% 상승 |
2022년 금리인상+약세장 | 2022.01~06 | 15,852 | 10,089 | –5,763 | –36.4% | 104.7% 상승 |
2025년 딥시크 충격 | 2025.01 | 20,200 | 19,000 | –1,200 | –5.9% | 8.7% 상승 |
2025년 관세폭탄 & 코렉션 | 2025.02~04 | 20,200 | 17,600 | –2,600 | –12.9% | 17.3% 상승 |
2025년 8월 고용악화/심리위축 | 2025.07~08 | 20,601 | 19,600 | –1,001 | –4.9% | 5.4% 상승 |
주석: 2018, 2020, 2022 이벤트 수치는 Yahoo Finance의 Nasdaq Composite 지수 종가 기준. 2025 데이터는 8월까지 확정된 값 반영.
3. 분할 매수 시점 가정(10% 단위)과 시기
현재 지수 약 20,600을 기준으로 10% 단위 하락 시점을 가정합니다. 목적은 평균단가 하향과 회복 구간 수익 극대화입니다.
하락률 | 예상 지수 | 구간 진입 조건 | 예상 시기(가정) |
---|---|---|---|
–10% | 18,540 | 현재 대비 –2,060pt 하락 | 2025년 가을(관세 여파 지속 시) |
–20% | 16,480 | 추가 하락 심화 | 2025년 말(침체 우려 확대 시) |
–30% | 14,420 | 심리적 공포 확산/침체 본격화 | 2026년 상반기(침체 확정 시) |
주석: –10%/–20%/–30% 구간은 나스닥 과거 평균 조정 폭(출처: Investing.com 연도별 변동률)과 유사
4. 하락 구간별 자금 배분(예시: 총 6,000만 원)
하락폭 | 예상 지수 | 총 투자금 | JEPQ(60%) | TQQQ(40%) |
---|---|---|---|---|
–10% | 18,540 | 10,000,000 | 6,000,000 | 4,000,000 |
–20% | 16,480 | 20,000,000 | 12,000,000 | 8,000,000 |
–30% | 14,420 | 30,000,000 | 18,000,000 | 12,000,000 |
합계 | — | 60,000,000 | 36,000,000 | 24,000,000 |
참고: 변동성이 극심할 땐 TQQQ 비중을 1:1로 조정하는 보수적 접근도 가능.
출처: Portfolio Visualizer 시뮬레이션, Yahoo Finance ETF 데이터
5. 필수 ETF 10선 & 언제 유리한가
① S&P500 ETF (VOO / SPY) — 회복·확장 국면의 기본값
- 언제 유리? 금리 인하 기대·경기 회복·실업률 개선 국면
- 주의 단기 과열/밸류 부담 구간에선 수익률 둔화 가능
② 나스닥100 ETF (QQQ) — 저금리·유동성 회복기
- 언제 유리? 금리 인하, 성장 기대 확산, 기술주 실적 서프라이즈 구간
- 주의 금리 급등기·실적 미스 시 변동성 확대
③ SCHD — 고배당 성장의 표준
- 언제 유리? 불확실성 확대·금리 인상기·방어적 흐름
- 주의 초저금리·빅테크 랠리 국면에선 QQQ 대비 상대 부진
④ VYM — 대형 고배당 가치주
- 언제 유리? 경기 둔화 구간의 현금흐름 확보, 금리 안정/상승기
- 주의 성장 테마 급등기에는 상대 수익률 열위
⑤ JEPI — 커버드콜 기반 프리미엄+배당
- 언제 유리? 박스권·횡보장·변동성 구간(프리미엄 수취)
- 주의 급상승장에선 상방 참여 제한(커버드콜 구조)
⑥ JEPQ — QQQ 기반 커버드콜+배당
- 언제 유리? 기술주 변동성 큰 구간의 현금흐름 확보
- 주의 기술 랠리 극대화 구간에선 수익 상단 제한
⑦ XLK — 기술 섹터
- 언제 유리? 금리 인하·실업률 개선·투자 확대(IT CAPEX)
- 주의 금리 급등·규제 리스크 확대
⑧ XLE — 에너지
- 언제 유리? 경기 회복·유가 상승·인플레 국면
- 주의 수요 둔화·유가 급락
⑨ XLV — 헬스케어
- 언제 유리? 침체·실업 악화·방어 장세
- 주의 경기 과열·성장 테마 대세장
⑩ TLT — 장기채(헤지·분산)
- 언제 유리? 금리 인하기·주식 급락 시 피난처
- 주의 금리 급등기/인상 사이클 초반
6. 상황별 매칭표(요약)
시장/지표 | 유리한 ETF | 논리 |
---|---|---|
금리 인하 기대 | QQQ, XLK, TLT, JEPQ | 성장주/채권 리레이팅 + 커버드콜 배당으로 변동성 완충 |
금리 인상·불확실 | SCHD, VYM, XLV, JEPI | 현금흐름/방어 섹터 + 커버드콜 프리미엄 수취 |
실업률 상승 | XLV, XLP | 필수소비·헬스 수요 견조, 경기 방어적 성격 |
경기 회복 | VOO(S&P500), SPY, QQQ, XLE | 광범위 시장 노출 + 성장주 랠리 + 에너지 수요 동반 |
7. JEPQ·TQQQ 평균단가 시뮬레이션
아래는 분할 매수(–10%/–20%/–30%) 시 TQQQ·JEPQ의 누적 평균단가 예시입니다. 가격은 현재 JEPQ 약 $55, TQQQ 약 $60을 기준으로 지수 하락률에 비례해 환산했습니다.
하락률 | TQQQ 단가 가정 | 매수 금액 | 누적 평균단가(TQQQ) |
---|---|---|---|
–10% | $40 | 4,000,000 | $40.0 |
–20% | $30 | 8,000,000 | $33.3 |
–30% | $20 | 12,000,000 | $26.7 |
하락폭 | 나스닥 지수 | JEPQ 평균단가 | TQQQ 평균단가 |
---|---|---|---|
–10% | 18,540 | $49.38 | $53.87 |
–20% | 16,480 | $43.89 | $47.88 |
–30% | 14,420 | $38.41 | $41.90 |
8. FAQ
Q1. –30% 이후 추가 하락 시엔 어떻게 하나요?
본 전략은 –30%를 한계선으로 두고 추가 매수 중단을 전제로 합니다. 나스닥 –40%급 급락은 팬데믹/금융위기 같은 특수 상황에서 드물게 발생하므로, 현금 보유와 회복 대기로 리스크를 제한하는 편이 합리적입니다.
Q2. JEPI·JEPQ 배당은 세금이 어떻게 되나요?
미국 상장 ETF 배당은 통상 미국 15% 원천징수가 먼저 적용되고, 한국에선 금융소득 합산 규모에 따라 종합과세 검토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개인 상황에 따라 상이)
Q3. VOO와 SPY는 무엇이 다른가요?
둘 다 S&P500을 추종하는 대형 ETF입니다. 운용사·수수료·거래량 등 세부가 다를 뿐, 핵심 노출은 동일합니다. 국내 브로커의 수수료·환전·주문 편의에 따라 선택하세요.
9. 한 줄 정리
금리·실업률·경기 국면과 맞물려 “언제 어떤 ETF가 유리한지”를 정해두고, –10%/–20%/–30% 분할 매수로 평균단가를 낮춰 회복 구간을 기다리는 전략—이게 개인 투자자에게 가장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법입니다.
👉 ETF 전략을 정리했다면, 환율 리스크 대응은 「미국 주식 환율 관리 & 환전 꿀팁」에서, 전체 리스크 점검은 「미국 주식 투자 시 꼭 알아야 할 리스크(2025 기준)」에서 확인해 보세요. 입문 단계라면 「미국 주식 시작 가이드(초보자를 위한 모든 것)」도 함께 참고하면 좋습니다.
※ 본 글은 투자 참고용 정보이며, 환율·주식·금융상품 투자 결과에 대한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투자 결정 전 반드시 본인 상황과 최신 공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